원작: 연암 박지원 / 극작: 이덕인 문선주 / 제작총괄: 이진섭
연출/작창: 이덕인 / 조연출: 박고우리 / 작곡: 박선영
안무: 서정숙 / 신체훈련: 강순규
무대: 이수원 (무대이야기) / 의상: 유미진 (무대이야기)
분장: 한원경 / 조명디자인: 이진섭
사진: 김용기 / 음악세션: 양지석 外 5인 / 녹음: 김용규
자문: 최문식, 최동석 / 기획: 김경화, 하정아
무대감독: 이진섭
‘소리’는 우리 고유의 음악예술이다. 어렵고 지루한 것으로 인식되어 서양의 음악예술에 비해 소외되어온 것이 사실이었으나 우리의 ‘소리’는 달라졌다. 고유의 색을 잃지 않고도 요즘 시대에 걸 맞는 옷으로 갈아입은 우리의 ‘소리’는 ‘소리극’이란 장르로 무대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우리 고유의 예술양식인 ‘소리’에 연극적 요소를 적절히 도입하여 음악이 곧 연기이고 이야기인 뮤지컬처럼 국악뮤지컬로 재탄생 되었다.
소리극은 1명의 소리꾼과 1명의 고수로 구성된 기존 판소리의 틀을 깨고 다수가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공연 예술’로 탈바꿈하였다. 창작 소리극 <호질>을 비롯하여 타루의 <시간을 파는 남자>, 재기발랄한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생들이 선보였던 <엄청난 거짓말쟁이 척척생겨> 등 우리의 전통예술에 요즘 시대의 문화를 적극 활용한 ‘소리극’은 국내는 물론 해외 무대에서도 상당한 호응을 끌어내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독특하게 창작된 ‘음악’과 더불어 각자의 역할을 넘나드는 우리 예술의 형식은 관객과 배우가 하나 되는 가장 가까운 장으로 문화 예술로써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수 많은 음표와 이야기만큼이나 가득한 신명의 세계는 보는 이로 하여금 한 자리에 가만 앉아있지 못하게 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의 ‘소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우리네 삶과 사람을 이야기하는 유일한 소통이었다. 가려운 곳을 긁어주고 아픈 곳을 어루만져 주던 ‘소리’는 오늘날의 어떤 문화예술보다도 더 큰 울림으로 우리 가슴에 머무르곤 한다. 통렬한 비판은 우리의 ‘소리’가 가진 풍자와 해학을 통해 더욱 생생하고 선 굵게 다가오며 그로 하여금 날카로운 지적을 통한 선생의 역할로써도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먼지 냄새 나는 원작에만 머물지 않고 현 세대를 아우르는 우리의 ‘소리’와 그것이 빚어낸 작품. 우리는 이것을 통해 우리가 잃지 말아야 할 삶의 한 장을 보게 될 것이다.
이렇듯 2008년의 <호질>은 원작을 각색,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이뤄낸 작창을 통해 소리극으로 재탄생 되었다. 북곽 선생으로 대표되는 고매한 인품의 소유자 곧 학자들의 위선을 비꼬는 것과 동리자로 대표되는 정절부인의 가식적 행위를 요즘 시대의 사람들에게 낱낱이 폭로하는 데 힘이 더 실린 셈이다. 또한 그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인간상에 대한 명확한 제시를 전함으로써 비판만을 일삼는 한계를 뛰어넘는다. 연출이자 소리꾼인 이덕인은 물론 고수 정부섭의 장단과 주고 받는 각 장들이 사뭇 기대가 된다.
제목 : 호랑이가, 부제 : 소리꾼이 들려주는 옛날이야기
내용 : 호랑이와 곶감, 해와 달이 된 오누이 2편의 호랑이 이야기
형식 : 판소리의 형식을 기반으로 연극, 탈춤, 국악동요 등 전통예술 종합.
출연 : 소리꾼, 고수 , 공연시간 : 40분
신명을일구는사람들의 국악놀이극은 국악공연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아이서부터 어른까지 부담 없이 즐기면서 국악의 매력에 푹 빠져들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연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교육의 바탕이 되는 놀이와 창작활동, 함께 호흡을 맞춰가는 참여의 시간과 웃음을 참지 못하게 하는 재미난 극 구성을 통하여, 몸으로 마음으로 우리의 것들이 가진 영양분들을 고루 섭취할 수 있는 알찬 시간을 만들어 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