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을일구는사람들

국악놀이극

덩실덩실 깨비깨비

연출 이진섭 공연시간 55분
2007년 초연 떼아뜨르 추 소극장

우리나라 전래 이야기를 판소리, 민요, 국악동요 등을 이용하여 표현한 창작극입니다.

작품소개

설화(민담,전설)속 이야기를 판소리, 탈춤, 민요, 창작곡 등 전통예술의 요소와 남사당패에서 전승되어온 공연 중 일부인 버나놀음, 그리고 씨름, 숨바꼭질, 제기차기 등 전래놀이를 극 속에 녹여낸 ‘국악 놀이극’입니다.
특히 국악과 전래놀이를 소재로 다룬 것은 국악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신명’의 어울림과 친구들과 함께하는 즐거운 놀이를 통하여,’함께’만들어 가는 일상의 작은 행복을 느끼고 심어주기에 더 없이 좋은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극단 ‘신명을 일구는 사람들’의 국악놀이극은 아이서부터 어른까지 부담 없이 즐기면서 전통예술의 매력에 푹 빠져들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연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교육의 바탕이 되는 놀이와 창작활동, 함께 호흡을 맞춰가는 참여의 시간과 웃음을 참지 못하게 하는 재미난 극 구성을 통하여, 몸으로 마음으로 우리의 것들이 가진 영양분들을 고루 섭취할 수 있는 알찬 시간을 만들어 주게 됩니다

줄거리

순진하다 못해 바보스러운 친구 봉달이. 마음을 나눌 친구를 만들고 싶지만 항상 따돌림을 당하고 이를 지켜보던 엄마, 아빠는 아들 봉달이가 여행을 통해 마음과 지혜가 클 수 있다고 믿고 멀리 여행을 보낸다. 
여행 중 처음 만난 것은 장승. 장승은 봉달이에게 수수께끼를 내고 이를 맞추자 봉달이를 도깨비에게 안내한다. 봉달이는 도깨비와 어울려 놀게 되고 어느덧 친한 친구가 된 봉달이에게 요술보자기를 주게 되는데…

따돌림이 사회문제가 되어가는 오늘. 봉달이와 도깨비를 통해 진정한 친구의 의미를 찾아보는 시간이다. 
‘도깨비가 준 보물’이란 전래 민담을 소재로 놀이와 민요, 소고 연주를 통해 함께 하는 세상의 참된 의미를 깨우쳐주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입니다.

국악 놀이극

근래에 들어 우리의 전통음악과 문화를 어린 시절부터 접하게 하는 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아기에서부터 다양한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렵고 지루하게만 느껴지는 ‘국악’과 어린이들이 보다 친숙해지기 위해서는 바로 보고, 듣고, 만지고, 움직이고, 표현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경험 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또한, 어린이의 본능적인 놀이 활동은 예술적 감수성, 그리고 지능만이 지적 능력과 언어 능력을 끊임없이 개발시킵니다. 고유의 음악과 정서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전달하고,놀이를 통한 창작 활동까지 유도하는 어린이를 위한 체험형 국악공연입니다.

– 2007년 4월 5일 ~ 6월 10일 홍대입구 떼아뜨르 추 소극장
– 2007년 6월 19일 ~ 6월 24일 천안 대학로소극장
– 2007년 7월 13일 연수구청 금요예술무대 (연수구청 대강당)
– 2007년 7월 20일 ~ 7월 22일 부산 경성대학교 콘서트홀
– 2007년 9월 12일 ~ 9월 51일 청주 하이닉스 문화센터
– 2008년 2월 27일 서울 송파구민회관 대강당 송파구 수요예술무대 초청공연
– 2008년 4월 4일 ~ 4월 5일 당진문와예술회관
– 2008년 5월 5일 청주국립박물관 초청공연
– 2009년 2월 21,22일 부산 해운대문화회관
– 2008년 2월 27일 ~ 3월 1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별무리극장
– 2012년 3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초청공연
– 2012년 4월 인천 미추홀도서관 초청공연
– 2012년 4월 관악문화관 기획공연
– 2012년 5월 단양군 어린이날 행사 참여
– 2013년 6월 청주 메가폴리스 아트홀
– 2015년 9월 청주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2015년 10월 순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2017년 10월 국립나주박물관 문화가있는날 초청공연
– 2017년 11월 세종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2017년 12월 부산 동래문화회관 대공연장
– 2018년 5월 6일 이천 도자기축제
– 2018년 7월 23일 서울등양초등학교
– 2018년 9월 13일 광진구청소년수련관
– 2018년 9월 19일 부천오정아트홀
– 2019년 1월 13일 대구웃는얼굴아트센터 청룡홀
– 2019년 1월 14, 15일 창원늘푸른전당
– 2019년 5월 6일 부안마실축제 초청공연
– 2019년 6월 4일 충북학생교육문화회관 대공연장
– 2020년 1월 21일 대교타워 아이레벨홀
– 2021년 12월 4일 광주어린이연극잔치 유스퀘어문화관 동산아트홀
– 2021년 경상남도교육지원청 주최 찾아가는 문화공연 (창원, 밀양, 남해, 통영, 고성, 합천, 사천 공립유치원)
– 2022년 충북문화재단 찾아가는 문화활동 참가 음성 향애원
-2024 마포구 유치원연합회 초청공연 마포구청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