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을일구는사람들

국악놀이극

얼씨구나 용궁가자

연출 이진섭 공연시간 50분
2006년 초연 두레홀2관

푸른 바다 속의 용궁은 인간들이 버린 쓰레기로 더럽혀지고 이내 용왕님은 몹쓸 병에 걸리게 된다. 용왕님에 병에는 토끼 간만이 약이 된다고 하자 여러 신하들이 모여 누가 세상에 나갈 것인가 고민하나 모두들 회피한다. 판소리, 토속민요, 탈춤, 꼭두각시 인형극 등의 여러 국악적 장르를 결합한 공연이다.

작품소개

판소리, 토속민요, 탈춤, 꼭두각시 인형극 등의 여러 국악적 장르를 결합한 어린이 마당극입니다.
놀면서 배우고, 즐기면서 얻어가는 국악체험놀이극 <얼씨구나 용궁가자> !!
좋은 것은 알고 있지만 멀게만 느껴지던 국악, 우리의 것이지만 친근하지만은 않던 우리 소리.
극단 ‘신명을 일구는 사람들’의 국악체험놀이극은 이런 국악공연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아이서부터 어른까지 부담 없이 즐기면서 국악의 매력에 푹 빠져들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연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교육의 바탕이 되는 놀이와 창작활동, 함께 호흡을 맞춰가는 참여의 시간과 웃음을 참지 못하게 하는 재미난 극 구성을 통하여, 몸으로 마음으로 우리의 것들이 가진 영양분들을 고루 섭취할 수 있는 알찬 시간을 만들어 주게 됩니다

줄거리

푸른 바다 속의 용궁은 인간들이 버린 쓰레기로 더럽혀지고 이내 용왕님은 몹쓸 병에 걸리게 된다. 용왕님에 병에는 토끼 간만이 약이 된다고 하자 여러 신하들이 모여 누가 세상에 나갈 것인가 고민하나 모두들 회피한다. 이때 충성스런 자라는 육지로 나가 거짓말로 토끼를 꼬여 용궁으로 데려온다. 용궁에 도착한 토끼는 그 말이 거짓임을 알고, 실랑이를 벌이다가 자신의 간을 김치냉장고 동치미 국물 속에 넣어 두고 왔다는 거짓말로 수궁을 탈출 하는데…

국악 놀이극

근래에 들어 우리의 전통음악과 문화를 어린 시절부터 접하게 하는 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아기에서부터 다양한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렵고 지루하게만 느껴지는 ‘국악’과 어린이들이 보다 친숙해지기 위해서는 바로 보고, 듣고, 만지고, 움직이고, 표현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경험 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또한, 어린이의 본능적인 놀이 활동은 예술적 감수성, 그리고 지능만이 지적 능력과 언어 능력을 끊임없이 개발시킵니다. 고유의 음악과 정서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전달하고,놀이를 통한 창작 활동까지 유도하는 어린이를 위한 체험형 국악공연입니다.

– 2006년 9월 16일 ~ 10월 29일 대학로 두레홀 2관
– 2006년 11월 17일 삼청각 일화당
– 2007년 1월 5일 ~ 2월 11일 대학로 두레홀 2관
– 2007년 2월 24일 ~ 2월 26일 고양시 덕양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
– 2007년 12월 5일 ~ 12월 8일 청주시 하이닉스 문화센터
– 2008년 1월 28일 서울상일초등학교
– 2008년 3월 21일 ~ 3월 23일 창원 성산아트홀
– 2008년 3월 28일 ~ 3월 30일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 2008년 4월 11일 ~ 4월 13일 과천 문화예술회관
– 2008년 4월 18일 ~ 4월 20일 부산 을숙도문화회관
– 2008년 4월 25일 ~ 4월 26일 당진문화예술회관
– 2008년 5월 2일 ~ 5월 3일 대구 북구문화예술회관
– 2008년 5월 4일 ~ 5월 5일 부산 해운대문화회관
– 2008년 5월 23일 ~ 5월 25일 부산 경기문화의전당 소공연장
– 2008년 5월 30일 ~ 6월 1일 광주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2008년 6월 4일 ~ 6월 7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별무리극장
– 2008년 7월 4일 ~ 7월 5일 속초문화회관
– 2008년 7월 11일 ~ 7월 13일 구미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2008년 8월 14일 ~ 8월 16일 인천 계양문화회관
– 2008년 8월 29일 ~ 8월 31일 부산 금정문화회관 소극장
– 2008년 11월 13일 ~ 11월 30일 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
– 2008년 11월 21일 ~ 11월 23일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
– 2009년 5월 국립청주박물관 대강당.
– 2009년 10월 인천 연수구청 전통문화예술축제 초청공연 연수구청 야외무대.
– 2009년 12월 상주시청 초청공연 상주시청소년수련관.
– 2013년 3월 21일 청계천문화관
– 2013년 4월 10일 ~ 14일 호원아트홀
– 2013년 6월 27일 ~ 30일 창동문화체육센터 공연장
– 2013년 4월 10일 ~ 14일 호원아트홀
– 2013년 8월 30일 ~ 9월 1일 성산아트홀 소극장
– 2013년 9월 12일 ~ 15일 예술나무시어터
– 2014년 1월 7일 ~ 19일 청주 메가폴리스아트홀
– 2015년 9월 26일 ~ 27일 국립경주박물관 한가위 특별공연.
– 2016년 11월 16일 17일 성남수정구청소년수련관
– 2016년 11월 18일 부천시민회관
– 2016년 11월 26일 국립공주박물관
– 2017년 1월 18일 송파구민회관
– 2017년 1월 20일 국립국어원
– 2017년 4월 29일 송파어린이도서관
– 2017년 5월 5일 ~ 7일 송도 BMW드라이빙센터 어린이날 특별공연
– 2017년 6월 8일 고양시 여성회관
– 2017년 6월 16일 평촌아트홀
– 2017년 9월 19일 관진구어린이회관
– 2017년 9월 20일 남양주시청 다산홀
– 2018년 5월 19일 국립전주박물관
– 2018년 6월 28일 서울서초문화예술회관
– 2018년 8월 17일 청주예술의전당 소공연장
– 2019년 1월 22, 23일 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
– 2019년 4월 9일 세종시문화예술회관
– 2019년 5월 5일 국립민속박물관어린이박물관 어린이날 특별공연
– 2019년 8월 24일 화성 봉담도서관
– 2019년 9월 18일 대교타워 아이레벨홀
– 2019년 11월 12일 대전 평송청소년수련관 공연장
– 2020년 1월 17일 부천 오정아트홀
– 2021년 12월 23일 여주 능서초등학교
– 2022년 5월 2일 용답초등학교
– 2022년 11월 11일 수원 송원초등학교
– 2022년 12월 15일 양평초등학교
– 2023년 12월 9일 서울 신월청소년수련관
– 2024년 2월 20일 김포 물빛유치원
– 2024년 3월 25일 송양유치원
– 2024년 12월 10일 오산 가수초등학교